품격

좋은 아침입니다.

 

1.

엊그제 정기 검사를 위해서

담당 의사를 만났는데,

프란치스코 교황 이야기를 합니다.

 

제 의사는 약간 보수적인 가톨릭 신자입니다.

물론 제가 목사인 것을 압니다.

프란치스코 교황의 진보적인 면은 탐탁지 않지만,

그는 매우 서민적인 훌륭한 분이었다고 칭찬합니다.

개신교 목사에게 은근슬쩍 자랑하고 싶었나 봅니다.

 

저도 고개를 끄덕이면서

프란치스코 교황은 존경받을 분이라고 치켜세웠습니다.

 

2.

지금부터 12년 전입니다.

교황이 연설하는데,

한 아이가 교황의 의자에 앉아 있습니다.

프란치스코 교황은 개의치 않고 연설을 계속했습니다.

 

그로부터 몇 달 후, 교황이 한 아기를 안았는데

그 아기가 교황의 모자(“주케토”)를 벗기고 머리를 만졌습니다.

아이가 모자를 벗기고 머리를 만져도

교황은 웃음을 잃지 않고 아이를 안아주었습니다.

 

이 두 개의 그림만 생각해도

프란치스코 교황은 서민적이었습니다. 소박했습니다.

약하고 가난한 자들의 편에 섰습니다.

 

2016년 트럼프 대통령이 멕시코 국경에 담을 쌓겠다고 했을 때,

“다리는 세우지 않고 벽만 세우는 사람은  기독교인이 아니다”라고

따끔하게 충고했습니다.

 

“프란치스코”라는 이름도

재산을 모두 팔아서 가난한 사람들에게 나눠주고

사제의 길에 접어든 이태리 아시시의 성자 프란치스코에서 왔습니다.

우리에게도 익숙한 “평화의 기도”를 지으신 분입니다.

교황 중에 처음 프란치스코라는 이름을 가졌답니다.

 

3.

교황의 유해가 성 베드로 성당에 안치되고

일반인들의 조문을 받을 때였습니다.

 

가까이는 남성 사제들만 들어갈 수 있는데

키가 150cm에 불과한 80대 수녀가

가장 가까이 다가가서 말없이 조문하는 모습이

언론에 보도되었습니다.

 

자넹그로스라는 수녀였습니다.

그는 교황과 수십 년 동안 우정을 쌓아온 분입니다.

소외 계층을 위해서 헌신한 분입니다.

 

교황은 이 조그만 수녀를 향해서
“앙팡 테리블(무서운 아이)”라고 불렀답니다. 작은 거인쯤 됩니다.

자넹그로스 수녀는 교황을 회고하면서

아버지 같고 형제 같고 친구 같은 분이라고 했습니다.

“계속 앞으로 나가라”고 말하면서 격려했던 눈빛과 격려를 회고했습니다.

 

4.

지도자들에게서

‘품격’을 찾아보기 쉽지 않은 요즘 세상에,

프란치스코 교황은 진정한 품격을 우리에게 남겼습니다.

 

화려하지 않아도, 아니 높은 자리에 있어도

어려운 이웃을 생각하고, 낮은 곳으로 내려가는

성육신(incarnation)의 신앙을 갖기를 원합니다.

그것이 예수님을 따르는 그리스도인의 마땅한 모습입니다.

 

너무 폼을 잡지 않고 이해관계에 민감하지 않고

조금 어리숙해 보여도 일상의 작은 행동과 말투,

오랜 우정과 관계 속에서 자연스럽게 우러나오는

품격을 갖추고 싶습니다.

 

화평케 하는 자는 복이 있나니

그들이 하나님의 아들이라 일컬음을 받을 것임이요 (마5:9)

Blessed are the peacemakers, for they shall be called sons of God (Mat5:9)

 

하나님,

근사하고 아름다운 주님의 자녀가 되게 하소서.

예수님의 이름으로 기도드립니다. 아멘

 

하 목사 드림.

(2025. 5. 1. 이-메일 목회 서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