십자가의 은혜 (2)

십자가의 도(道)

 

지난주에 살펴보았듯이 예수님께서 십자가에 죽으심은 구약의 율법이 요청하는 속죄 제사를 완성하신 사역입니다. 구약시대에는 양이나 소 등의 제물을 준비하고 자신들의 죄를 양이나 소에게 전가(전가 transfer)한 후에, 제물을 죽였습니다. 율법에 따라 정확하게 준비한 제물을 제사장에게 갖고 가면, 제사장은 생명의 상징인 피를 제단에 뿌리고 제물을 불에 태워서 제사를 드렸습니다. 매번 이런 절차를 밟아야 했습니다.

 

예수님께서도 이사야 53장에 예언한 대로 도살장에 끌려가는 어린양처럼 십자가를 지시고 골고다 언덕을 오르셨습니다. 나무에 매달아 죽는 것이 저주의 상징인 신명기 말씀(신21:22-23)처럼 저주받은 사람들이 죽는 십자가에 달리셨습니다. 머리에는 가시 면류관, 손과 발에 못 박힘, 군인들의 채찍에 온 몸에 피를 흘리셨습니다. 우리의 모든 죄를 대신 지고 죽으신 것입니다.

 

예수님께서 행하신 십자가 사역은 구약 율법의 완성입니다. 예수님 자신이 제물이 되셨습니다. 제사장이 되셨습니다. 한 번 죽으심으로 영원히 효력이 있는 속죄 사역을 완벽히 마치셨습니다. 따라서 우리는 제물을 준비할 필요가 없습니다. 제사장에게 나갈 필요도 없습니다. 우리보다 앞서서 십자가에 죽으신 예수님을 의지하고 믿음으로 모든 죄에서 해방됩니다.

 

우리는 예사롭게 생각할 수 있지만, 예수님 당시의 유대인들에게 예수님의 십자가는 엄청난 혜택이었습니다. 예수님께서 죽으셨을 때, 성전의 휘장이 위에서 아래로 찢어졌듯이 성전 제사는 끝나고 믿음을 통해서 의롭게 되는 새로운 은혜의 시대가 열렸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예수님을 믿은 유대인들은 예수님의 십자가 은혜를 경험했고 믿기 전과 후의 실제적인 변화를 고백할 수 있었을 것입니다.

 

유대인들만 그런 것이 아닙니다. 사도 바울을 통해서 예수 그리스도의 복음이 이방인에게도 전파되었습니다. 사도 바울은 오직 그리스도의 십자가를 전합니다:“내가 너희 중에서 예수 그리스도와 십자가에 못 박히신 것 외에는 아무것도 알지 아니하기로 작정하였음이라”(고전2:2). 오늘 본문에서도 “십자가의 도가 멸망하는 자들에게는 미련한 것이요 구원을 받는 우리에게는 하나님의 능력이라”(고전1:18)고 하였습니다.

 

죄인들이 죽는 십자가에서 돌아가신 그리스도만을 알겠다고 말하는 것이 신기할 정도입니다. 예수님을 믿지 않는 사람들에게는 미련해 보였습니다. 유대인들은 표적을 구했고, 헬라인들은 지혜를 구했습니다. 그런데 사도 바울과 제자들은 십자가에 못 박히신 그리스도를 전했습니다. 어떻게 이런 일이 가능했을까요? 십자가의 은혜와 능력 속에 빠져들었기 때문입니다. 바울은 물론  초대교회에게서 십자가는 신앙의 핵심이었고 생명이었습니다. -河-