찬송가 해설 (14)

내 너를 위하여 (찬송가 311장)

 

십자가에 관한 연속 설교를 시작하면서, 찬송가 <갈보리산 위에>를 소개하였습니다. 아이오와 출신의 조지 버나드(1873-1958) 목사님은 십자가의 은혜에 관한 찬송가를 만들고 싶었지만, 시상(詩想)이 떠오르지 않았습니다. 어느 날 미시간에서 부흥 집회를 인도하는데, 가사가 생각나면서 단숨에 써 내려간 찬송이었습니다. 예수님께서 십자가에 죽으실 때, 버나드 목사님 자신이 갈보리산 현장에 있다고 생각하고 쓰신 은혜로운 찬송입니다.

 

십자가에 관한 연속 설교를 마치면서 오늘은 <내 너를 위하여>라는 찬송가에 얽힌 이야기를 나누려고 합니다. 이 찬송가는 십자가에 죽으신 예수님께서 우리에게 던지는 질문으로 끝을 맺습니다:“내 너를 위하여 몸 버려 피 흘려/ 네 죄를 속하여 살길을 주었다/ 널 위해 몸을 주건만 너 무엇 주느냐?”(1절).

 

오늘 읽은 빌립보서 2장 말씀처럼 예수님께서는 하나님의 자리를 포기하고 자신을 비우고, 인간의 몸을 입고 세상에 오셨습니다:“오히려 자기를 비워 종의 형체를 가지사 사람들과 같이 되셨고”(빌2:7). 예수님께서 자기를 비우는 것에 해당하는 헬라어가 “케노시스(비움)”입니다. 케노시스라는 헬라어에는 “헛된 것이 되다”는 뜻도 있습니다.

 

예수님의 케노시스(자기 비움)는 하나님의 구원 계획을 이루는 시작입니다. 예수님께서는 모든 것을 포기하고 종의 형체, 즉 인간의 몸을 입고 세상에 오셨습니다. 하지만, 예수님께서는 외롭게 십자가의 길을 가셨습니다. 제자들은 모두 흩어졌습니다. 베드로는 예수님을 모른다고 세 번 부인했습니다.

 

로마 총독 빌라도가 예수님을 군중들 앞에 세워놓고 “보라, 이 사람이로다”(요19:5)라고 소개합니다. 예루살렘 군중들은 예수님을 십자가에 못 박고 강도 바라바를 놓아주라고 외칩니다. 아무도 예수님의 십자가 죽음이 부활로 이어질 것을 믿지 않았습니다. 거기서 끝났다고 생각했습니다. 자기를 비워서(케노시스) 인간의 몸을 입으신 예수님의 죽음이 헛된 것(케노시스)이 된 것처럼 보였습니다. 하지만, 거기가 끝이 아니었습니다. 예수님의 죽음은 우리가 배웠듯이 속죄, 화해, 승리였습니다. 죽음을 이기고 사흘 만에 부활하셨습니다.

 

찬송가 <내 너를 위하여>는 프란시스 해버갈(Frances Havergal, 1836-1879)이 “이 사람을 보라”에 해당하는 라틴어 <에케 호모 ecce homo>라는 주제의 그림을 보고 만들었습니다. 총독 빌라도에 의해서 군중 앞에 서신 예수님이셨습니다. 그림 아래에는 “나는 너를 위하여 이 일을 하였는데 너는 날 위해 무엇을 하였느냐?”는 글귀가 쓰여 있었습니다. 여기서 <내 너를 위하여>라는 찬송이 탄생했습니다. 훗날, 필립 블리스의 <케노시스>가 찬송가의 곡조가 되었습니다.

 

십자가에 관한 설교를 마무리하면서, “너는 날 위해 무엇을 하였느냐?”는 질문에 답하면서, 예수님을 따라서 십자가의 길을 걷기 원합니다. -河-