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고 에이미 (5)
요한복음에 등장하는 일곱 가지 <에고 에이미(나는…I am)>를 한 가지씩 공부하고 있습니다. 예수님께서 자신이 누구인지 알려주신 자기 소개문입니다. 그동안 배운 예수님의 <에고 에이미>는 다음과 같습니다:“나는 생명의 떡이라” “나는 세상의 빛이라” “나는 양의 문이라” “나는 선한 목자라,”
예수님은 생명의 떡으로 세상에 오셔서 자신의 몸을 내주셨습니다. 예수님께서는 어두운 세상에 빛으로 오셨고, 그 빛은 생명의 능력이었습니다. 세 번째와 네 번째 <에고 에이미>는 예수님을 양을 돌보는 선한 목자, 양들이 오가는 문으로 소개하셨습니다. 목자인 예수님과 양인 우리의 관계를 강조하셨습니다. 목자는 양의 이름으로 알고, 양은 목자의 음성을 듣습니다. 목자와 양이 서로 연결됩니다. 개인적이고 인격적인 관계입니다.
오늘부터 다음 주까지 배울 다섯 번째와 여섯 번째 <에고 에이미>는 서로 짝입니다. 역시 “생명”이 강조됩니다. 이처럼 예수님은 세상에 생명을 주기 위해서 오셨습니다. 예수님께서 마음에 품고 줄곧 생각하신 것은 “생명”입니다. 죽은 세상을 살리기 위해서 오셨습니다. 예수님을 믿는 모든 사람에게 생명을 주기 위해서 오셨습니다. 그런 점에서 기독교는 생명의 종교입니다.
요한복음에는 일곱 가지 <에고 에이미>와 함께 일곱 가지 표적(signs)이 나옵니다. 가나의 혼인 잔치에서 물이 변해서 포도주로 변한 표적으로 시작해서, 신하의 아들을 고치시고, 38년 된 병자를 고치시고, 5천 명을 먹이셨습니다. 물 위를 걸으시고, 앞을 못 보는 시각 장애인의 눈을 열어 주셨습니다. 그리고 마지막 일곱 번째 표적이 죽은 나사로를 살리신 사건입니다.
예루살렘에서 동쪽으로 2마일 정도 떨어진 곳에 베다니라는 동네가 있었습니다. 그곳에는 마르다와 마리아, 남동생 나사로가 살고 있었습니다. 예수님께서 예루살렘에 가시면 나사로의 집에서 머물곤 하셨습니다. 마리아는 예수님께 향유를 붓고 머리털로 예수님의 발을 닦은 여인입니다. 예수님께서 이들 오누이를 가족처럼 그리고 친구처럼 사랑하셨습니다.
그러던 어느 날 나사로가 많이 아프다는 소식을 들으셨습니다. 예수님께서 하시던 사역을 마무리하기 위해서 계신 곳에서 이틀을 더 머무시다가 나사로에게 가셨지만, 베다니에 도착하셨을 때는 나사로가 이미 죽어서 장례까지 끝낸 뒤였습니다. 예수님께서는 모든 것을 아시고 “우리 친구 나사로가 잠들었도다. 그러나 내가 깨우러 가노라”(요11:11)고 말씀하셨습니다.
베다니에 도착했을 때, 마르다와 마리아는 물론 온 동네 사람들이 나사로의 죽음을 애도하고 있었습니다. 그때 예수님께서 나사로의 무덤으로 가시면서 하신 말씀이 “나는 부활이요 생명이라”였습니다. 나사로를 살려 내십니다. 나사로의 죽음은 예수님의 부활을 알리는 표적이었던 것입니다.-河-