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정 다스리기

좋은 아침입니다.

 

1.

소위 근대(modernism)라고 불리던 시대에는

인간의 이성(reason)이 중요했습니다.

논리적으로 생각했고, 실험을 통해서 검증했습니다.

사실이 무엇인지를 규명하려고 애썼습니다.

 

근대 이후의 포스트모더니즘(postmodernism)에서는

이성보다 “감정(emotion)”이 앞서고 있습니다.

생각하는 것에 앞서서 느낌이 와야 합니다.

감이 잡혀야 합니다. 마음에 다가와야 합니다.

 

인간관계도 마찬가지입니다.

차근차근 조목조목 필요한 것을 점검하면서

사람을 사귀지 않습니다.

느낌이 오면, 마음이 통하면 곧바로 사귑니다.

청춘남녀의 연애는 말할 것도 없습니다.

 

그러다 보니

“감정팔이”라는 용어도 생겼습니다.

다른 사람의 감정에 호소하면서

그 사람의 동의와 도움을 얻어내는 행위를 뜻합니다.

다른 사람의 마음을 사서 자신의 이익을 챙기거나

관계를 형성하려는 부정적인 뉘앙스를 가진 용어입니다.

 

2.

기독교 신앙은 어떨까요?

우리나라 기독교는, 거의 초반부터

감성에 호소하면서 발전해 왔습니다.

“은혜 받았다”는 고백은 대부분 감정에 기초합니다.

 

제가 목회를 시작하던 90년대 중반부터

무작정 감정적으로 믿지 말고, 생각하면서 공부하면서

“질문하는 신앙” “이해하는 신앙”을 갖기를

부탁하는 이유이기도 합니다.

 

우리나라 기독교가 감정에 호소하면서

발전하고 부흥을 경험하다 보니,

냄비 같은 신앙에 빠지기 쉽습니다.

 

우리가 무엇을 믿는지 정리되지 않았습니다.

기독교에 관해서 이야기하라고 하면,

몇 마디 하지 못하고 말문이 막히는 경우도 있습니다.

 

3.

감정은 좋은 것입니다.

‘느낌’이 없고 ‘생각’만 있는 세상은 무미건조합니다.

 

그런데, 감정은 다스림의 대상입니다.

올바른 감정은 우리의 신앙과 삶을 풍요롭게 합니다.

우리의 믿음을 실제로 만들어 줍니다. 확신을 줍니다.

 

반면, 그릇된 감정은

“자기애(自己愛)”에 빠지거나

다른 사람에게 지나치게 집착하는 그릇된 모습으로 나타납니다.

변화가 심합니다.

 

영성가 리처드 로(Richard Rohr)는

우리의 감정을 다스리기 위해서 전망대에 올라가기를 권합니다.

그가 말하는 전망대는 우리 안에 계신 성령 하나님이 계신 곳입니다.

우리를 위해서 탄식하면서 기도하실 정도로 감정이 풍부하신

성령 하나님의 자리(전망대)에 올라가서 우리 자신을 살피라는 것입니다.

 

필요한 감정인지, 불필요하고 소모적인 감정인지,

집착하는 태도에서 나온 감정은 아닌지.

감성팔이처럼 남을 의식한 감정은 아닌지,

성령 하나님의 자리에서, 성령 하나님과 더불어 살피라는 권면입니다.

 

감정이 중요한 시대를 살다 보니

신앙과 삶이 감정에 따라 춤을 춥니다.

감정의 폭풍에 휘말리면,

바다 위에 떠 있는 조각배처럼 요동칩니다.

 

하나님 안에서 감정을 조절하고

올바르게 표현하고, 누리길 원합니다.

감정을 다스릴 줄 아는 성숙함까지 갖춘다면

정말 근사한 예수님의 제자가 될 것입니다.

 

그리스도의 평강이 너희 마음을 주장하게 하라.

너희는 평강을 위하여 몸으로 부르심을 받았나니

너희는 또한 감사하는 자가 되라 (골로새서 3장 15절)

 

 

하나님,

마음속에 평안을 주옵소서.

예수님의 이름으로 기도드립니다. 아멘

 

 

하 목사 드림.

(2025. 10. 9 이-메일 목회 서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