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턴없는 인생

몇 달 전, 동네 창고형 매장에서 아내가 사놓은 물건이 있었습니다. 친지에게 선물하려고 구입했는데 그만 시간을 놓쳐서 선물도 못하고 우리가 쓰기에는 양이 너무 많은 데다 물건을 살 때 받았던 영수증도 잃어버렸습니다. 빠듯한 살림에 아내의 시름이 깊어 갑니다. 곁에서 지켜보던 제가 용기를 내서 리턴을 시도하기로 했습니다. 구매한 시간도 3개월 가까이 지났고 영수증까지 없으니 거절당할 것 같았지만 밑져야 본전이라는 마음으로 물건을 가지고 매장을 찾았습니다.

 

입구에서 반납할 물건임을 확인한 후, 담당 직원 앞에 줄을 섰습니다. 그 날은 웬일인지 기다리는 사람도 별로 없어서 금방 우리 차례가 닥쳤습니다. 차라리 줄이나 길었으면 직원들이 무심코 처리할 법도 한데 줄까지 짧으니 마음이 더욱 졸여왔습니다. 세 명의 직원 가운데 매니저처럼 보이는 분이 걸렸습니다. 예상대로 쉽지 않아 보입니다.

 

이분은 저희가 산 물건을 꼼꼼하게 확인했습니다. 물론 한 번도 사용하지 않은 새것 그대로입니다. 영수증은 있냐고 묻습니다. 없다고 했더니 권총처럼 생긴 레이저건으로 물건을 스캔합니다. 구입한 날짜를 확인하는 것 같았습니다. 짧은 시간인데 저와 아내에게는 꽤 길게 느꼈습니다. 그러더니 아무 말 없이 초록색 영수증을 주면서 제 카드로 입금되었답니다. 싱거울 정도로 리턴이 쉬웠습니다. 누구보다 아내가 기뻐합니다. 진작 가져올 걸 괜스레 집에 두고 속앓이를 한 셈입니다.

 

누군가 말했듯이 미국은 리턴의 나라인 것 같습니다. 옷가지를 구입했다가 한두 번 입고 리턴한다는 거짓말 같은 얘기도 들었습니다. 몇 개월을 잘 쓰던 전자기기를 리턴하고 신제품으로 바꿔오는 경우도 보았습니다. 리턴이 이처럼 쉽게 이뤄지다 보니 물건을 구입하면서 “맘에 들지 않으면 리턴하지”라는 생각이 들 때도 있습니다. 소비자 입장에서는 좋지만, 물건을 만들고 대형 매장에 출품한 업체 입장에서는 죽을 맛이겠습니다.

 

너무 손쉽게 물건을 리턴하고 돌아오는 차 안에서 “우리 인생도 리턴이 가능하면 어떤 일이 생길까”라고 아내가 묻습니다. 갑자기 무슨 말인가 싶고 가슴이 철썩 내려앉았습니다. 50대 중반이 되면 남편이 약자가 되고 아내가 올라서기 시작한다는데 제가 너무 눈치없이 군림했나 싶었습니다. 순간적으로 몸을 낮추면서 자동차 브레이크를 밟았습니다. 아내는 말 그대로 인생 자체를 생각하며 질문한 것인데 제가 괜히 넘겨짚고 긴장한 것입니다.

 

인생길에 리턴은 없습니다. 리턴은 고사하고 잠시도 멈춰 세울 수 없습니다. 브레이크를 잡아도 소용없습니다. 나이가 들면서 가장 무서운 것이 한 시도 쉬지 않고 째깍째깍 소리 내며 가고 있는 벽에 걸린 시계의 분침과 초침이랍니다. 가지 않은 길에 대한 아쉬움과 후회가 생기지만, 그때 그 순간으로 되돌아가는 것도 불가능합니다. 이렇게 우리는 한 번뿐인 인생을 살다가 하나님께 갈 것입니다.

 

그런데 반대로 생각할 수 있습니다. 인생에 리턴이 없기에 하루하루가 소중합니다. 현재를 가리키는 영어 표현에 선물(present)이라는 뜻이 있듯이 우리에게는 24시간이라는 선물이 매일같이 주어집니다. 이 세상 아무도 가보지 않은 길입니다. 아무도 사용하지 않은 브랜뉴, 새날을 하나님께서 선물로 주십니다. 하얀 백지와 같아서 마음껏 상상력을 발휘하고 힘을 다해서 채워 넣을 수 있는 가능성입니다. 누구도 대신 살아 줄 수 없는 우리만의 고유한 날입니다. 그러니 하루하루가 소중합니다. 지우개로 지울 수도 없고 리턴도 불가능한 한 번뿐인 인생입니다.

 

돌아보니, 하루하루가 저절로 생기는 것처럼 살았습니다. 매일같이 해가 뜨니 오늘과 내일이 같은 날이라고 무심코 생각해 버렸습니다. 리턴이 편리한 나라에 살다 보니 인생도 리턴할 수 있다고 생각했을 수 있습니다. 한 번뿐인 인생을 참되고 선하고 아름다운 삶으로 하나님께 올려 드리고 싶습니다. 리턴할 수 없어서 아쉬운 것이 아니라, 리턴할 수 없기에 더욱 귀한 인생길을 걷고 싶습니다. 한 걸음 더 나가면, 내 인생만 중요한 것이 아니라 남의 인생도 한 번뿐임을 알고 이웃을 존중하고 배려하면서 리턴 없는 인생길을 사랑으로 걷기 원합니다. (2017년 4월 27일 SF한국일보 종교칼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