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 기도(1): 내가 내 음성으로/ 시편 77:1-3
Author: 참빛
2020 기도 (1)
내가 내 음성으로 (시편 77: 1-3)
지난주에 성령에 대한 말씀을 마무리했습니다. 우리 마음속에 계신 성령 하나님을 어머니 마음과 손길처럼 느끼고 성령을 쫓아 살기로 결심했습니다. 보혜사 성령께서 우리를 진리로 인도하시고, 위로와 힘을 주실 줄 믿습니다.
어려움을 극복할 위력, 일을 끝까지 해내는 힘, 자신감과 무기력을 떨치고 활동할 수 있는 에너지를 주시는 성령 하나님을 의지하기로 마음을 모았습니다. 참빛 식구들 모두 성령 충만을 사모하고 성령 하나님께서 부어주시는 사랑과 은혜 그리고 힘이 실제가 되길 간절히 바랍니다.
오늘부터는 시편 77편을 차근차근 연속해서 살펴보겠습니다. 월터 부르그만이라는 구약 학자가 팬데믹을 보내는 기독교인들에게 주는 메시지에서 시편 77편을 인용했습니다. 어려움을 겪고 있을 때는 앞이 보이지 않습니다. 하나님께 나와서 기도하는 것 외에 다른 방도가 없습니다. 그것을 시편 77편에서는 “밤에 부른 노래”라고 했습니다.
기약 없는 팬데믹을 사는 이 시간도 밤에 비유할 수 있습니다. 새벽을 기다리지만, 새벽이 언제 올지 알 수 없는 깜깜한 밤입니다. 여름이 되고 기온이 올라가면 바이러스가 없어질 것이라고 했지만, 바이러스의 기세가 꺾이지 않고 있습니다. 캘리포니아의 감염자 숫자가 뉴욕을 넘어섰다는 보도를 보면서 마음이 철렁 내려앉습니다. 밤을 사는 우리의 심정입니다.
시편 77편의 기자가 우리와 마찬가지로 어둠의 기간을 지나고 있습니다. 그때도 하나님을 믿기에 기도를 쉬지 않습니다. 자신이 직접 하나님께 나와서 손을 들고 기도합니다. 오늘 본문인 시편 77편 1-3절에 시편 기자 자신을 가리키는 일인칭 단수 “나”가 열 번 등장합니다. 시편 기자가 처한 상황이 얼마나 심각한지 그의 기도를 통해서 알 수 있습니다.
우리도 시편 기자처럼 “내가 내 음성으로” 하나님께 부르짖기 원합니다. 하나님께서 우리의 기도에 귀를 기울이시고, 하나님 귓전에 우리의 기도가 도달하는 것을 보기 원합니다. 시편 기자는 밤에도 손을 들고 기도했습니다. 어려움이 닥치자 손에 있는 것을 내려놓고, 하나님을 향하여 손을 뻗고 하나님의 도움을 구한 것입니다. 삶에 드리운 불안과 근심으로 심령이 상했지만, 그 순간에 하나님께 나와서 손을 들고 기도하는 것이 하나님 백성의 마땅한 모습입니다.
기도하지 않고 하나님의 은혜를 구하는 것을 조심해야 합니다. 손을 들고 우리 자신의 음성으로 기도하는 것 자체가 하나님을 인정하고 신뢰한다는 표시입니다. 인생의 밤이 너무 깊으면 기도가 나오지 않습니다. 그때는 우리 안에 계신 성령께서 탄식하면서 우리를 위해서 기도하시니 성령 하나님께 우리의 마음과 삶을 내어 맡기면 됩니다. 한 주간 내 목소리로 하나님께 기도합시다.-河-
교회 앞
좋은 아침입니다.
1.
예배로 모이지 못한지
넉 달이 넘어갑니다.
교회는 잘 있습니다.
예배실은 물론
아래층 친교실도 상쾌하도록 가끔 청소하고,
뒤꼍 아이들 방에 먼지가 덮이지 않도록 걸레로 닦아 줍니다.
그래도 우리 교인들의 발길이 뜸하니
거미들이 이곳저곳에 줄을 치고 잔치를 벌이고 있습니다.
<에클레시아 (부름받은 성도들의 모임)>라는 말 그대로
교회는 건물이 아니라 성도임을 실감합니다.
2.
우리 교회는
흩어지는 교회를 강조했습니다.
교회 모임을 많이 만들지 않았습니다.
주일 공동체 예배에 집중하고
나머지 6일 동안은 가정과 세상에서 빛과 소금으로 살기로 약속했습니다.
대신,
주일에 모여서 함께 예배하고 친교 하면서
서로를 위로하고 격려하고
세상에서 살아갈 힘과 용기를 얻기를 기대했습니다.
코로나가 발생하면서
우리 교회뿐만 아니라
대부분의 교회가 흩어지는 교회가 되었습니다.
모임이 적은 우리 교회도 힘든데
일주일 내내 모임이 많던 교회들은 꽤 어려울 것 같습니다.
하지만, 코로나가
교회를 흩어 놓는 것에도 뜻이 있겠지요.
3.
교회에 흐뭇한 일도 생겼습니다.
우리가 예배로 모이지 못하는 동안
교회 앞 정원에는 예전에 없던 과일들이 많이 열렸습니다.
가지가 휠 정도로 사과가 열리고
우체통 옆에는 배, 자두, 사과가 다닥다닥 붙어서
지나가는 사람들의 발길을 멈추게 할 정도입니다.
코로나로 인해서 자연이 살아난다고 하더니
그 말이 우리 교회 앞 과일나무에도 임한 것입니다.
왜 그럴까를 생각해 보았습니다.
교회 앞 도로가 한적했기 때문인 것 같습니다.
사거리에 서 있는 자동차들이 발진할 때 매연이 많이 나와서
길가 나무며 꽃이 죽곤 했는데 올해는 교통편이 훨씬 줄었습니다.
샌프란 공기도 좋아졌을 것 같습니다.
그러니 아침에 내리는 이슬이 맑은 공기와 합쳐서
나무들이 많은 열매를 맺도록 도운 것 같습니다.
4.
세상일이 모두 나쁠 수는 없습니다.
교회들이 너무 모임을 강조하니
팬데믹 기간 동안 저절로 흩어지는 교회가 되었습니다.
공기가 맑아지면서
도심의 과일 나무도 신이 나서 열매를 맺습니다.
힘든 시간을 보내다 보면
자꾸 좋지 않은 생각을 하게 되고
부정적인 뉴스나 소식에 민감하게 됩니다.
한 발짝 뒤로 물러서서
세상 한 가운데서 여전히 선하고 진실하게 일하시는
하나님의 손길을 포착하기 원합니다.
진리와 생명 되신 예수님께서
우리의 길이 되심을 믿고
오늘 하루도 감사로 시작합시다.
항상 기뻐하라. 쉬지 말고 기도하라. 범사에 감사하라
이것이 그리스도 예수 안에서 너희를 향하신 하나님의 뜻이니라 (살전 5:16-18)
Rejoice always, pray without ceasing, give thanks in all circumstances;
for this is the will of God in Christ Jesus for you.(1Thes 5:16-18)
하나님 아버지
참빛 식구들에게 생명과 길이 되어 주세요.
예수님의 이름으로 기도드립니다. 아멘
하목사 드림.
(2020. 7. 23이-메일 목회 서신)
2020년 7월 3주 말씀
성령 하나님 (9): 성령의 능력/ 에베소서 1장 19절
성령 하나님 (9)
– 성령의 능력
성령에 대한 말씀을 연속해서 살펴보았고 오늘이 마지막 시간입니다. 이번 연속 설교를 통해서 참빛 식구들이 성령 하나님이 어떤 분인지 알고, 보혜사 성령 하나님과 친해지고, 성령의 임재와 능력을 경험하시길 원했습니다.
보혜사 성령 하나님은 우리 마음속에 계시는 예수님이라고 했습니다. “보혜사”는 성령 하나님께서 언제나 우리와 함께 하심을 가리킨다고 했습니다. 함께 걸으시고, 곁에서 위로하시고 힘을 주시고 인도하십니다. 진리의 영이시니 생명과 진리 되신 예수님께 인도하십니다. 우리 안에 계시는 성령께서 우리가 하나님의 자녀임을 변호하십니다. 물론, 성령 하나님이 계시기에 삼위 하나님의 교제도 가능합니다.
성령 하나님은 삼위 하나님 가운데 가장 감정적이고 어머니같은 분이라고 했습니다. 우리를 감싸주시고, 우리의 연약함을 담당하시고, 우리가 기도할 수 없을 때 탄식하면서 기도하는 분입니다. 바람은 눈으로 볼 수 없지만, 바람의 존재를 확실히 알고 바람의 능력을 인정하듯이, 눈에 보이지 않는 성령도 느낄 수 있습니다. 성령의 체험입니다.
성령 하나님께서 우리 안에 계심을 세상에 드러내 보이는 증거가 바로 아홉 가지 성령의 열매라고 했습니다. 그리스도 예수의 사람이라면 성령의 열매를 맺는 것이 마땅합니다. 그리스도인의 신앙 인격입니다. 성령의 열매가 우리에게 있고, 교회 공동체는 물론 기독교 전체가 성령의 열매를 세상에 보여줄 수 있다면, 추락한 기독교의 위상이 다시 회복될 것입니다.
오늘 마지막 시간에는 성령의 능력에 대해서 살펴보겠습니다. 부활하신 예수님께서 제자들을 향해서 예루살렘을 떠나지 말고 성령을 기다리라고 부탁하셨습니다. 성령이 임하면 권능을 받을 것이라고 말씀하셨습니다(행1:8). 발전기(다이나모)를 연상시키는 <뒤나미스> 라는 헬라어가 쓰였습니다.
우리 안에 계시는 성령은 능력의 하나님이십니다. 두려움을 쫓아내고, 염려를 없애고, 어떤 어려움도 뚫고 나갈 힘을 주십니다. 따라서 성령의 사람은 예수님을 증거합니다. 초대교회에는 성령의 능력으로 죽음까지 불사했습니다. 바울이 에베소 교회를 마음에 그리면서 “그의 힘의 위력으로 역사하심을 따라 믿는 우리에게 베푸시는 능력의 지극히 크심이 어떤 한 것을 너희가 알게 하시기를 구하노라”(엡1:19)고 기도한 것도 성령의 능력을 믿었기 때문입니다.
지난 한 주간 “성령 하나님”을 부르며 지냈습니다. 우리 마음속에 계시는 성령 하나님과 친밀한 교제를 원했습니다. 술에 취하는 것이 아니라 성령에 취하는 성령 충만함을 더욱 원합니다. 우리 안에 계신 성령 하나님이 우리로 인해서 근심하지 않도록 하나님 뜻에 맞는 삶을 살기 원합니다. 플레처라는 분이 말했듯이, 참빛 식구들께서 각자의 오순절 성령 강림을 경험하시길 바랍니다.-河-
기도로
좋은 아침입니다.
1.
3월 중순부터
집에서 지내고 있습니다.
이스라엘 민족은 바빌론에 포로로 잡혀갔는데
우리는 집에서 포로가 되고 말았습니다.
넉 달 가까이 지났고
예전의 일상으로의 회복이 멀기만 하니 조바심이 납니다.
코로나로 인해서 집에서 지내다가
다른 스트레스 때문에 병이 날 것 같다는 얘기도 듣습니다.
초기에는 새로운 일상을 살아가는 아이디어들이 나오고
그것을 듣고 보면서 웃으며 견뎠습니다.
그런데 시간이 길어지면서, 지루하고, 답답하고, 막막합니다.
아마, 사람들의 분노(스트레스)지수를 측정하면
꽤 높을 것 같습니다.
2.
우리라고 예외가 될 수 없습니다.
저는 아무리 늦어도
6월에는 예배로 모일 줄 알았는데
8월 야외 예배는 물론 참빛 식구들이 모두 모여서
마음껏 찬양하고, 친교실에서 점심을 함께할 날이
과연 찾아올지 막연합니다.
엊그제 임원회에서
새로운 일상을 기정사실화하고
지금 우리가 할 수 있는 사역을 생각해 보자고 제안했습니다.
물론, 교회가 모이지 못하면 반쪽짜리 사역이 되기 쉽습니다.
분명한 한계가 있지만,
맞닥뜨린 상황을 선용하고 이것도 하나님께 산 제사로 드리기 원합니다.
3.
우리 교회 기도 시간은 밤 10시입니다.
초저녁잠이 많으신 권사님들은 8시나 9시에
그렇지 않으시면 10시를 구별하고 기도하십니다.
그 힘으로 우리 교회가 세워지고 있다고 생각합니다.
월요일 10시에
Zoom으로 기도회를 시작했습니다.
10시에 <zoom 기도실>에 입장해서 채팅창에 띄운 기도 제목과
개인 기도 제목을 갖고 15분 기도하고
짧게 <센터링 침묵기도>를 갖는 식입니다.
30분 남짓 짧은 시간이지만,
함께 기도할 수 있다는 것만으로도 저는 감사했습니다. 힘이 났습니다.
지난주일 설교에서 언급했듯이
집에 있으면서도 기도 시간을 갖기가 쉽지 않습니다.
영혼의 호흡인 기도 시간이 줄어드니
삶의 호흡이 가빠지고, 영적으로 답답함을 느낍니다.
팬데믹으로 힘겨운 일상을 뚫고 나가는 힘은 기도라고 믿습니다.
기도의 자리로 나갑시다. 다시 기본(베이직)을 챙깁시다.
어떻게든 시간을 내고, 골방을 확보해서
하나님 앞에서 무릎을 꿇고 이 상황을 헤쳐 나갑시다.
기도에 힘이 있음을 경험하는 이 시간이 되길 간절히 바랍니다.
그를 향하여 우리가 가진 바 담대함이 이것이니
그의 뜻대로 무엇을 구하면 들으심이라. (요일5:14)
This is the confidence that we have toward him,
that if we ask anything according to his will he hears us.(1John 5:14)
하나님 아버지
참빛 식구들이 각자의 소리로 기도할 때 꼭 들어주세요.
예수님의 이름으로 기도드립니다. 아멘
하목사 드림.
(2020. 7. 16이-메일 목회 서신)
2020년 7월 2주 말씀
성령 하나님 (8): 성령의 탄식/ 로마서 8장 26-30절
성령 하나님 (8)
성령의 탄식
구약성경에서 하나님의 사랑을 가리키는 단어 <라함>에는 어머니가 열 달 동안 아기를 품고 있는 아기집(자궁)이라는 뜻이 있다고 여러 번 말씀드렸습니다. 신약성경의 아가페에 해당하는 히브리어가 <헤세드>입니다. 하나님의 조건 없는 사랑을 가리킵니다. <라함>은 우리를 향하신 하나님의 긍휼(compassion)입니다. 하나님께서 우리를 얼마나 애틋하게 사랑하시는지 알 수 있습니다.
삼위 하나님(성부, 성자, 성령) 가운데 하나님의 사랑 <라함>을 잘 알려주는 분이 바로 성령 하나님이십니다. 창조주 되신 성부 하나님은 사랑과 공의를 함께 보여주십니다. 성자 예수님은 십자가에 죽기까지 우리 모두를 사랑하셨습니다. 성부 하나님과 성자 예수님의 사랑이 성령 하나님 안에 통합되었습니다.
성령 하나님의 심정을 잘 표현한 단어가 오늘 본문 속에서 “탄식”에 해당하는 헬라어 <스테낙모스>입니다. 앞에 “말로 표현할 수 없는”이라는 수식어까지 있어서 우리를 향하신 성령의 마음이 어느 정도인지 알 수 있습니다. 우리는 연약합니다. 실제로 힘이 없고 염려와 근심은 물론 두려움을 달고 삽니다. 몸과 마음만 약한 것이 아니라 우리의 신앙도 연약합니다. 지난 세 시간에 걸쳐서 배운 성령의 열매를 맺기에 부족한 심성입니다.
하나님 뜻대로 드리는 기도는 우리 자신을 숨기고 하나님을 높이는 기도여야 하는데 우리 자신을 위한 간구가 기도의 대부분을 차지합니다. 이기적이고 욕심이 앞서는 것이 사실입니다. 자칫 우리 기도 대부분이 하늘나라에서 잡동사니 취급을 받을 것 같아서 두려울 뿐입니다. “우리는 마땅히 기도할 바를 알지 못하나”는 말씀이 마음 깊이 다가오는 이유입니다.
그때 우리 안에 계시는 성령 하나님께서 “말할 수 없는 탄식”으로 우리를 위해 기도해 주십니다. 우리의 연약함, 망설임, 염려와 근심, 신앙의 방황까지 우리의 모든 것을 아시는 보혜사 성령 하나님이십니다. 게다가 성령은 하나님의 완전한 뜻을 알고 계시니 우리를 하나님께 인도하기에 부족함이 없습니다: “마음을 살피시는 이가 성령의 생각을 아시나니 이는 성령이 하나님의 뜻대로 성도를 위하여 간구하심이니라”(26절).
성령의 탄식은 노아의 홍수로 세상을 심판하실 때 하나님의 마음과 연결됩니다. 사람들이 악한 길을 가는 것을 보고 슬퍼하고 후회하셨습니다. 노아의 홍수로 세상을 심판하셨지만, 하나님을 등지려는 인간의 속성은 변치 않았습니다. 예수님께서 오신 이유입니다. 우리 안에도 연약한 본성이 그대로 있지만, 보혜사 성령께서 하나님의 근심을 탄식으로 바꿔서 우리를 위해 기도해 주십니다.
이처럼 삼위 하나님 가운데 보혜사 성령 속에 하나님의 사랑 <라함>이 깃들어 있습니다. 우리를 감싸주시고 우리를 위해서 탄식하며 기도하십니다. 복음성가 가사 대로 “따스한” 성령 하나님을 깊이 느끼기 원합니다.-河-
피난처
좋은 아침입니다.
1.
어제 아침에 읽은 시편 142편이
계속 입술과 마음에서 맴돕니다.
“다윗이 굴에 있을 때>에 지은 시편이라는
표제어 때문입니다.
다윗은 10년 넘게
사울을 피해서 광야를 헤맸습니다.
자신이 죽인 골리앗 장수의 나라 블레셋까지 가서
침을 흘리고 미친 척하면서 살아남았습니다.
들로 산으로 피해 다녀야 했습니다.
그때, 동굴이 다윗의 피난처가 되었습니다.
2.
내가 소리 내어 여호와께 부르짖으며
소리 내어 여호와께 간구하는도다 (시편 142:1:1).
“내가 소리 내어”라는 표현이
큰 소리로 다가옵니다.
다윗의 기도 소리가 동굴을 꽉- 채웠을 것입니다.
자신의 기도 소리를 들으면서 끊임없이 기도했을 것입니다.
우리 모두 팬데믹을 맞아서
집에 갇혀(?) 살아갑니다.
이렇게 거주와 이동의 자유를 박탈당할 줄 누가 알았을까요!
큰 소리 내서 기도하고
마음껏 찬양한 지가 까마득합니다.
주일 예배가 그리운 이유 가운데 하나입니다.
비록 예배로 모이지 못하지만,
각자의 자리에서
큰 소리로 기도하고 찬양하시면 어떨까요:
내가 소리 내어 여호와께 부르짖으며
소리 내어 여호와께 간구하는 도다.
3.
여호와여 내가 주께 부르짖어 말하기를
주는 나의 피난처시요 (5절).
사울에게 쫓겨 다니는 다윗에게
동굴 만한 피난처가 없었을 것입니다.
그런데 동굴은 피난처이자
자칫 적들에게 들킨다면 꼼짝없이 잡히는 막다른 골목입니다.
그것을 알고 있는 다윗은
하나님이 자신의 진정한 피난처임을 고백합니다:
주는 나의 피난처시요.
새로운 일상을 사는 우리에게도
하나님께서 피난처가 되심을 믿습니다.
앞길이 불안한 상황 속에서
우리 마음이 심히 상합니다.
그때도 주님께서 우리의 위로가 되심을 믿습니다.
힘들수록 주님께 외쳐 기도하고
지칠수록 주님을 피난처 삼기 원합니다.
오늘 하루,
주님 앞에서
마음껏 외쳐 기도하고 찬양하는 시간을 꼭 가집시다!
나의 부르짖음을 들으소서
나는 심히 비천하니이다 (시편 142:6)
Attend to my cry,
for I am brought very low! (Psalms 142:6)
하나님 아버지
참빛 식구들을 주님 품에 안아주옵소서.
예수님의 이름으로 기도드립니다. 아멘
하목사 드림.
(2020. 7. 9 이-메일 목회 서신)
2020년 7월 1주 말씀
성령 하나님 (7): 성령의 열매/갈라디아서 5장 22-24절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