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초공사

좋은 아침입니다.

 

샌프란시스코 한복판에
밀레니엄 타워(301 Mission)라는 58층짜리 주거용 빌딩이 있습니다.

높이만 197m (645ft)에 달하는 빌딩입니다.

 

2009년부터 입주가 시작되어서

SF 자이언츠의 야구선수 헌터 펜스와

농구선수 케빈 듀런트가 사는 곳으로 유명합니다.

 

그런데 이 높은 빌딩이 내려앉고 있습니다.

2016년에 처음 제기된 문제인데

현재 17인치가 내려앉았고

북서쪽으로 14인치 기울었습니다.

 

유명하신 분들이 사는 곳이기에 난리가 났습니다.

계속 가라앉고 있는 빌딩을 어떻게 보수해야 하고

책임소재와 보상문제를 놓고 여러 건의 소송이 제기된 상태입니다.

 

엊그제 한 가지 보수 방식이 제시되었는데

보수비가 자그마치 2억-4억 달러에 이를 것 같답니다.

타워를 지을 때 들어간 3억 5천만 달러를 웃도는 엄청난 보수비입니다.

그런데 이렇게 많은 돈을 들여도

그 효과를 정확히 예측할 수 없다네요 ㅠㅠ

 

어떤 입주자들은 건물을 부수고

새로 지을 것을 제안하지만 그것도 쉽지 않답니다.

하여튼 지혜를 모으고 정확히 대책을 세워서

그 큰 건물의 안정성이 확보되길 바랍니다.

 

2.

밀레니엄 타워의 보수공사에 관한 신문기사를 읽으면서

기초공사의 중요성을 다시금 실감했습니다.

보수비용이 건축비용을 웃돈다는 기사를 읽으며

저도 모르게 혀를 찼습니다.

 

물론 건설하신 회사에서도 최선을 다했겠지만

결과적으로 그 큰 건물이 17인치나 내려앉았으니

책임을 면하기 힘들 것입니다.

(내려앉은 상태에서도 건물은 안전하다니 기술력이 대단합니다)

지난 사순절부터 주일예배에서

<사도신경>을 차례로 살펴보고 있습니다.

사도신경은 신앙의 첫 단추라고 여러 번 말씀드렸습니다.

신앙을 높이 쌓아 올리는 기초공사인 셈입니다.

 

신앙도 기초가 부실하면

바람이 불고 홍수가 났을 때 주저앉고 무너질 수 있습니다.

기초공사는 겉모습이 아니라 속에 숨겨진 내공이니

속이 꽉 차 있어야 합니다.

 

사도신경을 함께 공부하면서

신앙의 뿌리를 깊이 내리는 참빛 식구들이 되시길 바랍니다.

 

어떤 상황 속에서도 흔들리지 않는 굳건한 신앙을 갖추고,

그 위에 각자 신앙의 집을 근사하게 세워 가시길 바랍니다.

 

저는 뒤에서 기도하고 힘닿는 대로 돕겠습니다.

 

누구든지 나의 이 말을 듣고 행하는 자는 그 집을 반석 위에 지은 지혜로운 사람 같으리니

비가 내리고 창수가 나고 바람이 불어 그 집에 부딪치되 무너지지 아니하나니

이는 주추를 반석 위에 놓은 까닭이요 (마태7:24-25)

Everyone then who hears these words of mine and does them will be like a wise man who built his house on the rock. And the rain fell, and the floods came, and the winds blew and beat on that house, but it did not fall, because it had been founded on the rock.(Matthew 7:24-25)

 

하나님 아버지,

참빛 식구들께

흔들림 없고 내려앉지 않을 신앙과 삶을 허락하옵소서.

예수님의 이름으로 기도드립니다. 아멘

 

하목사 드림

(2017.4.19이-메일 목회 서신)

크고 은밀한 일

좋은 아침입니다.

 

엊그제 수요예배에서는

예레미야 33장을 읽었습니다.

 

지난번에도 말씀드렸듯이

예레미야서 한가운데 위치한

30-33장은 위로와 회복의 말씀입니다.

 

바벨론에 포로로 잡혀간

이스라엘 백성들에게 커다란 위로와 힘이 되었을 것입니다.

현재 상황을 깜깜한 밤이지만

언젠가는 밝은 날이 올 것이라는 희망을 주었기 때문입니다.

 

예레미야 33장 3절이 유명합니다:

너는 내게 부르짖으라

내가 네게 응답하겠고 네가 알지 못하는 크고 은밀한 일을 네게 보이리라.

Call to me and I will answer you,

and will tell you great and hidden things that you have not known.(Jer 33:3)

 

본문에서는

하나님께서 이스라엘에게 보이실

크고 은밀한 일을 차근차근 소개합니다:

– 하나님께 버림받고 사람들의 조롱거리가 된 예루살렘을 고치고 새롭게 만드실 것입니다.

– 바벨론 뿐만 아니라 사방에 흩어진 백성들을 예루살렘에 돌아오게 하고,

세상 가운데 “기쁜 이름”과 “영광과 찬송”이 될 것입니다.

– 황폐한 예루살렘의 슬픔이 사라지고 기쁨과 즐거움이 찾아올 것입니다.

– 하나님께서 다윗에게서 한 의로운 가지가 나와서 나라를 통치하게 만들 것입니다.

 

바벨론에서 포로 생활을 하는 이스라엘 백성들로서는

믿을 수 없는 말씀입니다. 엄청난 약속입니다.

말 그대로 “크고 은밀한 일(great and hidden things)”이었습니다.

 

2.

대신,

하나님께서 이스라엘에 부탁하시는 것은

너는 내게 부르짖으라”입니다.

 

부르짖는 것은 당연히 “기도”입니다.

그만큼 기도가 중요하고,

기도는 하나님의 크고 은밀한 일을 경험하는 길(way)입니다.

 

하지만, 부르짖는 것을 단순히 입술의 기도만 생각하지 말고

조금 넓게 생각해도 좋겠습니다.

 

부르짖는 것은

– 하나님의 뜻을 구하는 것입니다.

– 하나님께서 원하시는 것이 무엇인지 하나님 입장에서 생각하는 것입니다.

– 사도신경에서 배웠듯이 “하나님 아버지”께 자녀 된 우리 마음과 처지를 알리는 것입니다.

– 천지를 창조하신 하나님의 생각과 능력을 구하는 것입니다.

– 하나님의 능력으로 살겠다는 다짐입니다.

 

3.

하나님께서

참빛 식구들의 부르짖음에 응답하시고

크고 은밀한 것을 보여 주시길 간절히 바랍니다.

 

우리의 한계와 상상을 넘어서는

아버지 하나님의 은혜와 능력을 힘입는 것입니다.

 

입술의 기도뿐만 아니라

하나님의 약속과 능력을 힘입는

총체적인 부르짖음이 우리 안에 있기를 원합니다.

 

부활절 셋째 주일을 맞습니다.

교회력에 따라 여전히 부활절을 사는 것입니다.

부활의 은혜와 능력을 통한 크고 은밀한 일도 기대합니다.

 

너는 내게 부르짖으라

내가 네게 응답하겠고 네가 알지 못하는 크고 은밀한 일을 네게 보이리라.(렘33:3)

Call to me and I will answer you,

and will tell you great and hidden things that you have not known. (Jer 33:3)

 

하나님 아버지,

전적으로 부르짖는 참빛 식구들께

크고 은밀한 일을 보여주옵소서.

예수님의 이름으로 기도드립니다. 아멘

 

하목사 드림

(2017.4.12이-메일 목회 서신)

분을 품지 말고

엊그제 화요일에는

평소에 자주 가는 스타벅스 커피숍

바로 옆 건물에서 총격 사건이 있었습니다.

 

우리 동네에서 제가 가장 좋아하는 스카벅스 매장인데

옆에 그 유명한 유튜브 본사가 있는 줄 몰랐다가

어제 보도를 보고 알았습니다.

 

총격사건을 벌이고 스스로 목숨을 끊은

여성은 이란계 이민자였습니다.

동물 애호가로 활동했고

광고 수입을 위해서 유튜브에 영상을 올렸는데

최근에(?) 유튜브의 규정변경으로 인해서

수입이 줄면서 불만이 커졌던 것 같습니다.

 

그녀가 집을 나간 것을 안 아버지는

경찰에 실종신고를 했습니다.

경찰은 사고 당일 새벽

차 안에서 자고 있던 범인을30마일 떨어진 마운틴 뷰에서 발견했습니다.

20여 분간 대화를 나눴지만

침착하게 경찰 조사에 응했기에 별일 없을 것으로 생각했답니다.

 

그런데 그날 오후

유튜브 본사에서 총격사건을 벌인 것입니다.

 

2.

이번 총격사건을 일으킨 여성은 자신의 계정에

“실제 세상에서 자유로운 의사 표현은 불가능하다.

[사회] 시스템이 지원해 주지 않는 한 진리를 말하는 것은 무척 어렵다”는 글을 남겼답니다.

 

동물 애호가로, 소셜 계정의 광고수입으로

무엇보다 17세에 가족과 함께 미국에 온 이민자 1.5세로,

요즘 같은 시대에 중동계 이민자로 살아가면서

마음속에 세상에 대한 불만과 “분노”가 차 오른 것 같습니다.

 

겉으로는 태연했지만

마음속에는 화산처럼 끓어오르는 분노가 있었을 것입니다.

인터넷에서는 자신의 의사를 표현하지만

그녀와 생각을 나누고 얘기를 들어줄 “실제 사람”도 부족했을 것 같습니다.

 

안에서 끓어오르는 분노를 풀어낼 기제가 마땅치 않으니

총을 구입해서 해서는 안 될 일을 했습니다.

 

3.

어찌 이 여성만 그럴까요!

대부분 사람들, 심지어 우리도

마음 한 켠에 분(anger)을 갖고 살아갑니다.

 

창세기의 가인도 분노를 다스리지 못해 동생을 죽였습니다.

에서도 장자권을 빼앗은 동생 야곱을 죽이고 싶을 만큼 분노했습니다.

잠언에서도 쉽게 분노하는 것은 미련한 일이라고 교훈합니다.

해가 지도록 분을 품지 말라는 말씀도 있습니다.

남자들은 “분노와 다툼없이” 손을 들어 기도하라고 했습니다.

 

속에 있는 분(anger)을 잘 다스려야 합니다.

자신을 조롱하고 못박은 군병까지 용서하신

십자가의 예수님을 바라보고 생각하는 것이 분노를 다스리는 비결입니다.

 

말씀 속에서 자신의 내면을 살피고,

기도를 통해서 하나님의 위로와 은혜, 함께하심을 경험하는 것도 중요합니다.

 

개인적인 차원을 넘어서

우리가 사는 세상이

분노를 일으키고 발전시키는 시스템에서 벗어나길 간절히 바랍니다.

 

분을 내어도 죄를 짓지 말며 해가 지도록 분을 품지 말고

마귀로 틈을 타지 못하게 하라 (엡4:26-27)

Be angry and do not sin; do not let the sun go down on your anger,

and give no opportunity to the devil. (Ephesians 4:26-27

 

하나님 아버지,

우리가 사는 세상과 모든 사람의 마음속에

부활의 주님께서 전하신 “그리스도의 평화”를 주옵소서.

예수님의 이름으로 기도드립니다. 아멘

 

하목사 드림

(2017.4.5이-메일 목회 서신)

고난 주간을 보내며

지난 주에 나눈 히브리서 말씀(히2:2-3)대로

예수님을 바라보고, 예수님을 생각하면서

고난 주간을 보내고 계실 줄 압니다.

 

오늘 목요일은

예수님께서 제자들과 유월절 만찬을 갖고

겟세마네 동산에서 기도하고 잡히신 밤입니다.

 

기독교 전통에서 고난 주간의 목요일을

“Maundy(먼디) Thursday”라고 부르곤 합니다.

 

“Maundy”는 계명(commandment)이라는 뜻의 라틴어

“만다툼(mandatum)”에서 왔습니다.

 

예수님께서 유월절 만찬에서 주신 요한복음의 새 계명일 것입니다:

새 계명을 너희에게 주노니

서로 사랑하라 내가 너희를 사랑한 것 같이 너희도 서로 사랑하라(요13:34)

A new commandment I give to you, that you love one another:

just as I have loved you, you also are to love one another. (John 13:34)

 

유월절 만찬에서 제자들의 발을 씻겨 주시면서

제자들에게 섬김의 삶을 살라고 명령하신 예수님의 말씀도 떠올립니다:

내가 주와 또는 선생이 되어 너희 발을 씻었으니

너희도 서로 발을 씻어 주는 것이 옳으니라 (요13:14)

If I then, your Lord and Teacher, have washed your feet,

you also ought to wash one another’s feet. (John 13:14)

 

교회의 전통에서Maundy Thursday에는

예수님 말씀대로

세족식을 하거나 촛불 예배를 드리곤 했습니다.

 

2.

예수님께서 돌아가신 날은

“성금요일 Good Friday”라고 부릅니다.

 

예수님께서 돌아가신 날인데

“Good”이라고 부르는 것이 약간 어색합니다.

이에 대한 몇 가지 견해를 소개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Good에 해당하는 영어가 옛날에는 holy와 유사하게 쓰였답니다.

그래서 Good Friday를 우리 말로 옮길 때는

“성 금요일(Holy Friday)”이라고 합니다.

 

Good과 하나님을 뜻하는 God이 유사하다는 점에서

God’s Friday라는 의미가 들어있다는 견해도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Good Friday를 단어 뜻 그대로 해석하는 것입니다.

예수님께서 십자가에 달려 돌아가신 것만 생각하면 슬픈 일입니다.

하지만 우리는 예수님의 죽음 너머에 있는 부활을 알고 있기에

마냥 슬퍼하지 않습니다.

 

십자가의 죽으심은

궁극적으로 우리를 위한 아니 온 세상을 향한 “선한 사역”입니다.

선으로 악을 몰아낸 최고의 사건입니다.

 

온 세상을 향한 하나님의 사랑과

목숨까지 내어주신 십자가의 은혜를 기억하면

예수님께서 십자가에 달려 죽으신 날은 말 그대로 Good Friday입니다.

 

3.

오늘과 내일은

갈보리 십자가로 향하시는

예수님의 발길과 마음을 따라 사시길 권합니다.

 

목요일 저녁의 유월절 만찬, 겟세마네 기도, 잡히심

금요일 제 구시(오후3시)에 십자가에 죽으신 예수님을 생각하면서

여기에 해당하는 복음서 말씀을 읽는 것도 좋겠습니다.

 

각자의 자리에서 하나님 앞에서 단독자로,

친지들 또는 가족과 함께

성금요일 모임을 갖는 것도 참- 좋습니다.

일상과 삶의 영성을 고난주간에 실천하는 것이지요.

 

2018년 고난주간에

우리 모두에게 임할 예수님의 은혜를 사모하면서

십자가의 예수님을 바라보고, 또 깊이 생각하기 원합니다.

 

하나님 아버지,

고난 주간을 보내는 참빛 식구들 위에

십자가의 은혜가 깊이/충만히 임하게 하옵소서.

예수님의 이름으로 기도드립니다. 아멘

 

하목사 드림

(2017.3 29이-메일 목회 서신)

하나님의 속마음

좋은 아침입니다

 

수요예배에서는

마가복음을 마치고 다시 예레미야로 돌아와서

후반부를 읽고 있습니다.

 

예레미야서는 크게 1-25장과

26-52장으로 나누어 집니다.

 

전반부는 예루살렘을 향한 예레미야의 예언입니다.

하나님께 받은 말씀을 그대로 전하는 식이고 문체는 대개 시어체로 쓰였습니다.

후반부는 하나님께 받은 말씀을 선지자의 삶을 통해서 전합니다.

예레미야의 모습에서 예수님을 발견할 정도입니다.

예레미야를 “눈물의 선지자”라고 부르는 것을 흠뻑 느낄 수 있습니다.

 

500년 가까이 지속되었던

다윗 왕조가 막을 내리는 순간에

눈물로 예언한 말씀이기에 만만히 읽을 수 없습니다.

매 순간 이스라엘의 죄를 고발하고

하나님의 심판을 예고하는 식이어서 마음이 서늘해집니다.

 

2.

그런데 이번 수요일부터 읽기 시작한

예레미야 30-33장은

이스라엘을 향한 하나님의 위로와 소망으로 가득 차 있습니다.

 

포로로 잡혀간 이스라엘 백성들을

아무 조건 없이 예루살렘으로 돌아오게 할 것입니다.

이스라엘이 지은 죄를 용서해 주시고

상한 곳에서 새로운 살이 돋아나게 하실 것입니다.

 

하나님과 약속을 저버리고

우상을 섬기는 등 하나님을 떠난 백성을 향해서

“나는 너희 하나님이 되고 너희는 내 백성이 될 것”이라고

망가진 관계를 다시 회복하십니다.

 

다음 주에 살펴볼 31장에 가면

새로운 언약을 선포하시면서

모세 시대처럼 돌이 아니라

이스라엘 백성의 마음에 새겨 주시겠답니다:

 

그러나 그 날 후에 내가 이스라엘 집과 맺을 언약은 이러하니

곧 내가 나의 법을 그들의 속에 두며 그들의 마음에 기록하여

나는 그들의 하나님이 되고 그들은 내 백성이 될 것이라 (렘31:33)

But this is the covenant that I will make with the house of Israel after those days, declares the LORD:

I will put my law within them, and I will write it on their hearts. And I will be their God, and they shall be my people.(Jer 31:33)

 

 

3.

하나님을 떠난 이스라엘 백성을 향한

죄의 고발과 심판의 말씀 한 가운데

하나님께서 계획하신 위로, 용서, 치유와 소망의 말씀이 있는 것이 예사롭지 않습니다.

 

저는 예레미야서의 구조를 보면서

하나님 아버지의 속마음을 느낍니다.

이스라엘이 하나님을 떠났고 하나님께서 그들의 죄를 물으셨지만

그래도 하나님의 속마음은 사랑임을 깨닫습니다.

 

이스라엘이 자신의 힘으로 돌아올 수 없을 때

하나님께서 직접 나서서 아무 조건 없이

다시금 자기 백성으로 삼으시는 사랑의 하나님을 발견합니다.

 

우리 역시 이렇게 하나님의 은혜로 살아갑니다.

우리 안에 하나님 아버지의 속마음,

우리를 위해서 목숨을 내어주신 예수님의 그 큰 사랑이 넘치길 원합니다.

 

그들에게서 감사하는 소리가 나오고 즐거워하는 자들의 소리가 나오리라

내가 그들을 번성하게 하리니 그들의 수가 줄어들지 아니하겠고

내가 그들을 존귀하게 하리니 그들은 비천하여지지 아니하리라 (렘30:19)

Out of them shall come songs of thanksgiving,

and the voices of those who celebrate.

I will multiply them, and they shall not be few;

I will make them honored, and they shall not be small. (Jer 30:19)

 

하나님 아버지,

주님의 은혜로 사는 하루가 되게 하시고

주의 은혜에 감사하는 참빛 식구들이 되게 하옵소서.

예수님의 이름으로 기도드립니다. 아멘

 

하목사 드림

(2017.3 22이-메일 목회 서신)

보잘것 없더라도

좋은 아침입니다

 

오늘 새벽기도회에서는

구약성경 학개서를 읽었습니다.

 

스가랴와 말라기만 읽으면

구약을 모두 통독하고 신약성경에 접어듭니다.

새벽에 한 장씩 읽지만, 가랑비에 옷이 젖듯이 구약의 끝에 왔습니다.

지루한 예언서 읽기였지만, 쉼 없이 꾸준히 읽은 결과입니다.

 

학개 선지자는 우리식으로 하면

8월 말부터 12월까지 (성경에서는 여섯째 달부터 아홉째 달)

석 달 정도만 활동했습니다.

 

바벨론 포로에서 돌아온 이스라엘 백성들이

성전 건축을 중단하고 자신의 집을 짓는 등

하나님보다 자기를 먼저 챙기고,

마음이 다른 곳에 가 있는 것을 지적하면서

힘을 합쳐서 성전 건축을 끝낼 것을 권면 했습니다.

 

70년이라는 포로 생활을 경험하고 고향에 돌아온 이스라엘 백성들은

학개 선지자의 예언에 감동받고 서둘러 성전건축을 마무리했습니다.

솔로몬 성전에 이은 두 번째 성전입니다.

 

그런데 레바논산 수입 백향목과 금과 은으로 지은 솔로몬 성전에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초라했습니다.

백성들이 산에서 나무를 갖다가 지었으니 초라할 수밖에 없습니다.

 

그때 학개 선지자가 솔로몬 성전의 영광을 본 사람을 불러내서

이제 막 완공된 두 번째 성전에 관해서 묻습니다.

 

너희 가운데에 남아 있는 자 중에서 이 성전의 이전 영광을 본 자가 누구냐

이제 이것이 너희에게 어떻게 보이느냐 이것이 너희 눈에 보잘것없지 아니하냐 (학개 2:3)

Who is left among you who saw this house in its former glory?

How do you see it now? Is it not as nothing in your eyes? (Haggai 2:3)

 

 

실제로 보잘것없는 성전의 모습입니다.

히브리어 본문은 아예 “아무것도 아님(nothing)”이라는 표현을 썼습니다.

원로들이 눈물을 흘렸습니다.

 

학개 선지자는 하나님 말씀대로

스룹바벨 총독, 여호수아 대제사장, 그리고 모든 백성에게

스스로 강하게 할지어다 (Be strong)”라고 권면합니다.

아무것도 아닐 만큼 초라한 성전이지만,

하나님께서 그들과 함께하시기 때문입니다.

 

2.

올해 우리는 <작은 일에 충성>이라는 표어를 갖고 살고 있습니다.

연초에 교회 표어를 설교하면서 작은 일을 다음과 같이 설명했습니다:

– 말 그대로 하찮고 작은 일

– 아무도 알아주지 않는 일

– 아무리 열심히 해도 눈에 띄지 않는 사소한 일.

 

실적주의, 자기 자랑, 겉치레 등이 중요한 시대에 살다 보니

작은 일에 충성하기가 쉽지 않습니다.

때로는 무언가 열심히 했는데, 결과가 보잘것없을 수 있습니다.

또한,자신이 해놓은 일을 바라보면

아쉬움이 밀려오고 초라해 보이곤 합니다.

 

그때 학개 선지자의 위로와 권면을 기억할 필요가 있습니다.

하나님께서는 작은 일, 아무것도 아닌 것 같은 일 속에도 함께 하십니다.

행여나 보잘것없이 보일지라도 하나님께서 말씀하십니다:

 

스스로 굳세게 하여 일할지어다. 내가 너희와 함께 함이라 (학개 2:4)

Be strong, work, for I am with you (Haggai 2:4)

 

하나님 아버지,

참빛 식구들에게 힘을 주옵소서.

스스로 굳세게 하옵소서.

예수님의 이름으로 기도드립니다. 아멘

 

하목사 드림

(2017.3 15이-메일 목회 서신)

주님은 나의 힘

좋은 아침입니다

 

오늘은 110번째 맞는

UN이 정한 여성의 날입니다.

지금은 여성의 인권이 많이 개선되었지만

110년 전 여성의 날을 제정할 때는

여성의 노동 착취는 물론 투표권도 보장되지 않을 때입니다.

 

그동안 많이 개선되었다고 하지만

여전히 여성에 대한 편견과 불이익,

미투(Me too)운동에서 보듯이

여성을 대상으로 한 폭력은 사라지지 않았습니다.

 

2.

학창시절 햄릿을 배울 때,

교수님은 한 문단을 외워서 쓰는 과제를 내주셨습니다.

 

대부분 “죽느냐 사느냐 그것이 문제로다”는 문단을 택했습니다.

물론 저도 마찬가지였습니다.

 

그런데 햄릿에 유명한 구절로

“약한 자여 그대 이름은 여자이니라”가 있습니다.

다른 친구들과 차별하기 위해서 그즈음을 외워볼까 생각했지만,

그것은 햄릿이

아버지가 죽은 지 두 달 만에

숙부의 품에 안긴 자기 어머니를 두고 한 말이기에 얼른 포기했습니다.

 

셰익스피어와 그의 작품 햄릿이 세상에 끼친 영향이 꽤 큽니다.

마치 모든 여성이 자신의 어머니처럼 “약하다”는 편견을 심어주었다면

여성의 날을 맞아서 셰익스피어도 사과해야 할 것 같습니다.

 

이처럼 우리 안에는 여성에 대한 편견이 많습니다.

중요한 사안에서 여성을 배제하는 경우도 종종 봅니다.

 

3.

성경은 하나님께서 여자와 남자를

하나님의 형상대로 지으셨다고 창세기 1장에서 선포합니다.

 

늘 말씀드리듯이

하나님의 사랑도 “여성(레헴)”으로 설명하고,

잠언의 지혜도 여성명사이고,

심지어 히브리어의 성령도 여성명사입니다.

 

사사 시대에는 여성 사사 드보라가 있었고,

예수님도 마리아에게서 태어나셨습니다. (요셉의 역할은 없지요)

열두제자들이 모두 예수님 곁을 떠났지만

십자가에서 죽으시는 현장과 무덤에 향료를 갖고 갔던 사람도 여성입니다.

 

종종 바울 서신에서 아내는 남편에게 복종하라는 말씀 등을 갖고

여성의 지위에 제동을 거는 경우가 있는데

성경 본문을 문맥을 따라 자세히 읽고

당시의 상황을 고려해서 올바로 해석해야 합니다.

 

4.

미국에 와서 구약 성경의 <아가서>를 공부한 적이 있습니다.

그때도 교수님은 아가서에서 한 문단을 정해서

자기 사무실에 와서 암송하라고 했습니다.

 

아가서는 솔로몬 왕과

피부 색깔이 검은 술람미 여인과의 사랑 이야기입니다.

하나님과 우리의 사랑이 남녀의 사랑만큼

친밀하고 은밀해야 함을 알려주는 말씀입니다.

 

그때 저는 술람미 여인을 향한 솔로몬의 고백을 암송했습니다:

나의 사랑, 내 어여쁜 자야 일어나서 함께 가자

겨울도 지나고 비도 그쳤고

지면에는 꽃이 피고 새가 노래할 때가 이르렀는데

비둘기의 소리가 우리 땅에 들리는구나 (아가서 2:10-12)

 

여성의 날 110주년을 맞아서

그동안 여성들 위에 드리웠던 겨울이 지나고 비도 그치고

꽃피는 봄날이 오길 바랍니다.

 

하나님과 우리 사이에도 똑같이 봄날이 찾아오길 원하면서

오늘 새벽에 읽은 하박국 3장 19절 말씀을 나눕니다.

이 말씀에 등장하는 “사슴” 역시 여성명사입니다.

 

하나님은 여성들을 편애하시는 것 같습니다.

 

주 여호와는 나의 힘이시라

나의 발을 사슴과 같게 하사 나를 나의 높은 곳으로 다니게 하시리로다 (하박국3:19)

GOD, the Lord, is my strength; he makes my feet like the deer’s;

he makes me tread on my high places.(Habbakuk 3:19)

 

하나님 아버지,

우리가 사는 세상의 모든 사람이

각자의 자리에서 존중받게 하옵소서.

예수님의 이름으로 기도드립니다. 아멘

 

하목사 드림

(2017.3 8이-메일 목회 서신)

삼일절

좋은 아침입니다

 

미국 날짜로 오늘은

삼일절 제99주년입니다.

 

삼일절은

점점 거세지는 일제의 군부 통치에

33인의 민족 지도자들을 중심으로

서울에서부터 전국적으로 확대된 독립 만세운동입니다.

 

3개월여 계속되면서

백만이 넘는 국민이 만세 행렬에 동참했습니다.

 

평화적인 비폭력 독립 만세운동이었고

민족대표 33인 가운데

기독교인이 절반에 가까운 16명이었습니다.

 

1차 세계 대전이 끝나고 파리 강화조약에 참여했던

미국 대통령 우드로 윌슨이

각 민족은 스스로 자신의 운명을 결정하게 하자는

민족 자결주의를 천명했습니다.

 

여기서 힘을 얻은 민족 지도자들이

일본에 의한 독살 가능성이 제기된

고종 황제의 장례식날 (3월 1일)을

D-day로 삼아서 독립운동을 계획한 것입니다.

 

2.

3.1 운동에서 알 수 있듯이

당시 기독교인들은 일제에 빼앗긴 조국을 되찾기 위해서

목숨을 바치면서 독립운동에 앞장섰습니다.

 

예수님 말씀대로

세상의 빛이 되고 소금이 되었습니다.

자신만 아는 개인적인 신앙을 떨치고

조국과 일제 치하에서 힘겹게 살아가는 겨레를 위해서

분연히 일어선 것입니다.

 

36년 일제강점기 내내

많은 기독교인들이

일본 천황을 향한 신사참배를 거부하고

직간접적으로 독립운동에 참여하면서

조국의 해방을 위해 온 몸을 던졌습니다.

 

신사참배를 반대하면서

끝까지 신앙을 지키다가 감옥에서 순교하신

주기철 목사님의 설교 가운데 한 문단을 가져왔습니다.

<장기의 고난을 견디게 하여 주시옵소서>입니다:

 

단번에 받는 고난은 이길수 있으나 오래 오래 끄는 장기간의 고난은 참기 어렵습니다.

칼로 베고 불로 지지는 형벌이라도 한두번에 죽어진다면 그대로 이길수 있으나

한달 두달 1년 10년 계속하는 고난은 견디기 어렵습니다.

그것도 절대 면할수 없는 형벌이라면 할 수 없이 당하지만,

한 걸음만 양보하면 그 무서운 고통을 면하고 도리어 상준다는데 많은 사람들이 넘어갑니다.

말 한다미만 타협하면 살려주는데 용감한 신자도 넘어지게 됩니다.

하물며 나같은 연약한 약졸이 어떻게 장기간의 고난을 겯디어 배기겠습니가?

다못 주님께 의지하는 것 뿐입니다.

 

삼일절을 보내면서

조국 대한민국을 마음에 품고 기도하기 원합니다.

우리의 신앙이 개인을 넘어서

“세상을 맑고 명랑하게” 만드는 빛과 소금이 되기 원합니다.

 

이제 종이 주의 종들인 이스라엘 자손을 위하여 주야로 기도하오며

우리 이스라엘 자손이 주께 범죄한 죄들을 자복하오니

주는 귀를 기울이시며 눈을 여시사 종의 기도를 들으시옵소서 (느헤미야 1:6)

Let your ear be attentive and your eyes open,

to hear the prayer of your servant that I now pray before you day and night

for the people of Israel your servants, confessing the sins of the people of Israel,

which we have sinned against you. (Nehemiah 1:16)

 

하나님 아버지,

우리 조국 대한민국을 긍휼히 여기시고

친히 인도해 주옵소서.

예수님의 이름으로 기도드립니다. 아멘

 

하목사 드림

(2017.3 1이-메일 목회 서신)

승자와 패자

좋은 아침입니다

1

평창에서 올림픽이 열리고 있지만

미국에서 올림픽을 즐기기는 쉽지 않습니다.

우리 나라 선수들이 참가하는 종목과

미국 선수가 잘하는 종목이 다르기 때문입니다.

 

어젯밤에는 올림픽이 궁금해서

인터넷으로 NBC를 클릭했다가

미국과 캐나다의 여자 아이스하키 결승전을

연장전(OT)부터 생중계로 시청했습니다.

 

미국과 캐나다는 여자 아이스하키에서

누구도 따라올 수 없는 강자들이랍니다.

월드컵에서는 여덟 번 싸워서 일곱 번 미국이 승리했습니다.

그런데 올림픽에서는 1998년 이후

네 번 연속 캐나다가 미국을 꺽고 금메달을 차지했습니다.

 

4년 전 러시아 소치 올림픽에서는

미국이 줄곧 이기고 있다가 막판에 동점 골을 내주고

연장전에서 캐나다에 패했습니다.

 

그리고 어제

강릉에서 또다시 두 팀이 맞붙은 것입니다.

이번에는 캐나다가2-1로 이기고 있다가 막판에 동점골을 내주고

4년 전과 마찬가지로 연장전에 돌입했습니다.

 

아이스하키 규칙을 잘 모르는데,

연장전에서는 골키퍼를 제외하고 양 팀 네 명씩 경기했습니다.

쉽게 골을 넣을 것 같았지만, 이미 지쳐버린 체력에

골키퍼들의 선방으로 연장전도 무승부로 끝났습니다.

 

덕분에 태어나서 처음으로

아이스하키의 “슛아웃/shootout”을 보게 되었습니다.

축구의 승부차기처럼 양 팀에서 다섯 선수가 번갈아 나서서

중앙선부터 퍽을 몰고 가서 골키퍼를 피해서 골을 넣는 방식입니다.

 

막상막하여서 다섯 선수 가운데 양 팀 모두 두 선수만 골을 넣고,

가장 잘하는 선수들이 다시 나와서 번갈아 슛아웃을 시도합니다.

 

미국 선수가 능숙하게 골키퍼를 속이고 골을 넣었습니다.

상대편 캐나다 선수는 세계에서 가장 골을 잘 넣는 탁월한 선수였는데

그만 골키퍼에게 막히고 말았습니다.

축구로 치면 메시가 승부킥을 실축한 것과 같은 겁니다.

 

미국팀은 얼싸안고 20년만의 승리를 자축했습니다.

캐나다 선수들은 자리를 뜨지 못한 채 눈물을 흘렸습니다.

운동장에서는 승리의 눈물을, 덕아웃에서는 아쉬움의 눈물을 흘립니다.

승자와 패자가 그렇게 갈렸습니다.

 

2.

스포츠에서

영원한 승자가 없다는 말이 실감났습니다.

 

그런데 어디 스포츠만 그럴까요?

우리 인생에서 영원한 승자도 패자도 없습니다.

엎치락뒤치락하면서 인생길을 걸어갑니다.

 

이것을 알기에 일희일비할 필요가 없습니다.

승리했다고 교만할 것도 아니고

패배했다고 기죽을 일도 아닙니다.

묵묵히 그리고 여전히 성실하게 주어진 인생길을 걸어갈 뿐입니다.

 

주님께서 허락하신 분복(分福, portion)을 지금/여기서 누리고

창조주 하나님께서 함께하심을 믿고,

뚜벅뚜벅 신앙과 인생의 길을 걷는 것입니다.

 

어제 경기를 생각하니

마지막 골을 실수한 캐나다 선수가 마음에 걸립니다.

그 중요한 경기에서 실수했으니, 마음이 얼마나 힘들까요!

어제 했던 실수가 평생 생각날 것 같습니다.

어제 일을 인생 교훈으로 삼고 훌훌 털고

또다시 얼음판으로 나오길 바랍니다.

 

울 때가 있고 웃을 때가 있으며 슬퍼할 때가 있고 춤출 때가 있으며

돌을 던져 버릴 때가 있고 돌을 거둘 때가 있으며

안을 때가 있고 안는 일을 멀리할 때가 있으며 (전도서 3:4-5)

a time to weep, and a time to laugh; a time to mourn, and a time to dance;

a time to cast away stones, and a time to gather stones together;

a time to embrace, and a time to refrain from embracing;(Ecclesiastes 3:4-5)

 

하나님 아버지,

승리와 패배, 성공과 실패,

크고 작은 것, 높고 낮은 것과 같은

세상의 기준을 뛰어넘는 신앙을 주옵소서.

예수님의 이름으로 기도드립니다. 아멘

 

하목사 드림

(2017.2.22이-메일 목회 서신)

언제까지니까

좋은 아침입니다

 

지난 주일 일곱 번째 참빛 보이스는

청년부 자매들이 꾸몄습니다.

 

디자이너와 애니메이터의 차이도 배웠고

무엇보다 자기 일을 사랑하고

열정을 갖고 주신 소명(vocation)을 감당하는 모습에 도전을 받았습니다.

 

참빛 보이스를 통해서

젊은이들이 무슨 일을 하는지 알게 되고

구체적인 기도 제목들도 얻습니다.

 

무엇보다, 우리 교회는

교회 일을 바짝 줄이고

대신에 세상에서 빛과 소금으로 살기를 소망하고 있기에

참빛 보이스와 같은 시간이 더욱 소중합니다.

 

2.

참빛 보이스에서 배웠듯이

자율 주행차의 기술이 꽤 발전하고 있고

회사마다 마지막 경쟁이 치열해지고 있답니다.

 

그렇지만 여전히 모든 이의 관심은 사고방지입니다.

자동차 스스로 움직이다가, 행여나 오작동이 나서

한 사람의 목숨이라도 잃게 한다면

자율 자동차의 존재 가치가 뚝—떨어지기 때문입니다.

 

아니 금세 의회에서 자율 자동차 규제 법안을 만들고

국민의 안전이 최고라고 호들갑을 떨 것입니다.

 

그런데 아무리 많은 희생자가 생겨도

꿈쩍하지 않는 케이스가 있습니다.

바로 미국의 총기 규제입니다.

 

어제 다시 플로리다의 한 고등학교에서

퇴학당한 19살의 청년이 반자동 소총을 난사해서

17명의 학생이 목숨을 잃었습니다.

 

지난달에도 켄터키에서 15세의 학생이 저지른 총격으로

2명이 숨지고 18명이 다쳤습니다.

총기사고가 학교로 번지고, 범행을 저지르는 연령대도 낮아지고 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을 비롯해서 많은 정치인은

총이 문제가 아니라 총을 악용하는 사람이 문제라고 주장하지만

테러로 인해서 민간인들이 목숨을 잃는 것보다

총격과 총기를 사용한 자살로 목숨을 잃는 경우가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높고, 사고 가능성 역시 일상화되고 있습니다.

 

총격 사건이 생길 때마다 “위로”를 전하는 정치인들의 인터뷰는

더 이상 효력도 설득력도 없습니다.

 

총격 사건으로 서른 명의 목숨을 잃은 후에

총기를 규제하고 2억 달러 이상의 총을 사들인

호주처럼 강력한 제재를 가하는 것이,

트럼프 대통령이 추진하는 이민자 규제나 국경에 담을 쌓는 것보다

국민을 훨씬 안전하게 지키는 일입니다.

 

3.

하나님의 형상으로 창조된 모든 사람이 귀합니다.

다른 사람을 무시하는 것은 하나님을 무시하는 것이고

다른 사람에게 상처를 입히는 것은 하나님께 상처를 입히는 것이고

무고한 사람의 목숨을 빼앗는 것은 하나님을 향한 범죄입니다.

 

골든스테이트 워리어의 스티브 커(Steve Kerr) 코치의 인터뷰 첫마디가 마음을 칩니다:

“그 어떤 조치도 취해지지 않고 있습니다.

정부는 우리 아이들이 총으로, 그것도 학교에서,

목숨을 잃는 것이 아무렇지도 않은 가 봅니다”

 

우리가 사는 미국이 안전한 나라가 되길 바랍니다.

힘없는 사람들, 애꿎은 희생자가 더 이상 나오지 않길 간절히 바랍니다.

 

주님의 긍휼을 구합니다.

 

그 때에 여호와께서 자기의 땅을 극진히 사랑하시어 그의 백성을 불쌍히 여기실 것이라 (요엘 2:18)

Then the LORD became jealous for his land and had pity on his people. (Joel 2:18)

 

하나님 아버지,

우리가 살아가는 미국 땅을 기억하시고

생명을 존중하는 마음들이 법으로 실제화되는 것을 속히 보게 하소서

예수님의 이름으로 기도드립니다. 아멘

 

하목사 드림

(2017.2.15이-메일 목회 서신)